서론. 기획의 조건 (1) UX디자인(이하 UXD)과 기획자의 공통점을 뽑는다면 바로 사람. 사람을 생각하는 일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한 면에서 국내 UX붐과 함께 기획자와 UXD의 업무가 겹쳐 서로의 영역이 모호해졌다는 점을 이야기해야겠지만, 이 이야기는 후일로 미루고, 앞서 예고에서 말했지만 기획은 어떠한 목적에 맞게 행동을 설계하는 일이다. 누구나 할 수 있지만, 그렇다고 아무나 할 수 있는 일은 아니다. 누구나 요리는 할 수 있지만 모두가 요리사는 아닌 것처럼. 기획자든 요리사든, 그들은 목적을 '좋은 형태'의 구체적인 결과물로 나타내는 일을 하고 있다. 목적에 맞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드는데 있어 결과물을 창출해내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기획자는 목표를 정하고, 결과물을 논리적으로 정리하고, 객관적으로 만들어내.. 더보기 사물에 대한 이야기, 서문 : 디자인 03. 산업 속에서 디자인이 걸어온 길 사물에 대한 이야기, Prologue. Design_03. 산업 속에서 디자인이 걸어온 길. 지금까지 우리는 앞선 글들을 통해 디자인의 두 기능과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품과 사용자가 만나는 지점”에서 디자인의 가장 표면적인 기능, 사물의 형태를 가장/은폐/변형하여 해당 사물의 첫 인상과 이미지를 부여하는 기능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다음 “접점의 이면, 관념이 거래되는 곳”에서는 사물의 이미지가 심미성뿐만 아니라 그 시대 사회 속의 다양한 관념과 신념으로부터도 기인한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관념과 신념은 곧 사회적 수요를 형성하고 디자인은 이를 사물로 ‘실체화’하는 역할을 수행함 또한 살펴보았다. 디자인의 기능과 역할들을 정리해서 도표로 나타내보면 아래와 같다. [산업과 시장 속에서 .. 더보기 [ETNEWS.com] 페이스북 소셜 검색 '그래프서치' ...구글과 '다른 검색' 지향 [ETNEWS.com] 페이스북 소셜 검색 '그래프서치' ...구글과 '다른 검색' 지향 15일(현지시각) 포브스·타임 등에 따르면 페이스북은 회원들이 올린 사진과 글, 방문 장소, 선호도 표시 등을 기반으로검색 결과물을 제공하는 소셜 검색 서비스 `그래프 서치(Graph Search)`를 공개했다.(중략)검색 결과는 사용자마다 다르게 나타난다. 친구 관계를 맺은 사용자도 다르고, 공개 여부 설정도 제각각이기 때문이다. 결과를 활용해 `영화를 좋아하는 친구들` 등과 같은 개인화한 분류 체계도 적용할 수 있다.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CEO는 “SNS와 연관된 각종 정보를 찾아낸다는 점에서 완전히 새로운 검색”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새로운 방식으로 사람들을 연결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원문 링크 :.. 더보기 이전 1 ···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