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에 대한 이야기, 본문 : 01-1. 바탕화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어떻게 디자인 되었는가? (4) 사물에 대한 이야기, Chapter 01. Digilog Exprerience컴퓨터의 데스크탑(바탕화면)1. 바탕화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어떻게 디자인 되었는가? (4) 지난 글에서 우리는 컴퓨터 바탕화면을 구성하는 UI 요소들을 분류하고 각각의 특징들을 정리해 보았다. 이 글에서는 계속해서 각 UI 요소들이 어떤 아날로그 환경과 도구들로부터 기원했는지, 그 이면에는 어떤 원칙이 자리잡고 있는지에 대해 살피며 "바탕화면 UI는 어떻게 디자인 되었는가?"를 마무리 지을 것이다. 먼저 컴퓨터가 자리잡고 있는 공간, 그리고 사용되는 환경을 살펴보자. 지금 시대야 컴퓨터가 다양한 형태와 목적으로 여러 환경 속에서 사용되고 있다지만 처음 컴퓨터가 보급되었을 때만 하더라도 컴퓨터는 사무실이란 한정된 공간 속에서, .. 더보기 Main Project_Step 01. SKETCHING Main Project "How world's been changed?"Step 01. SKETCHING 지난 시간까지 우리는 "How world's been changed?"라는 메인 프로젝트의 주요 질문을 선정하게 된 이유를 설명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한 프로젝트 진행 과정을 살펴보았다. (지난 글 보러 가기) 이번 글에서는 그 첫 단계, SKETCHING 과정에 대해 보다 세부적으로 논의해 보려 한다. 먼저 SKETCHING 단계의 개요를 다시 한 번 살펴보자. SKETCHING Process Overview. 이 단계에서는 본격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조사를 시작하기 이전에 "사회 어느 지점을 살펴야 하는가?" 혹은 "어떤 시대적 흐름이 있었는가? 그 중 주목할 만한 것은 무엇인가?" 등의 조사방향.. 더보기 실생활에서의 인간공학 사례 2 지하철역에 디지털뷰에 대해서. 이 논제는 2012년 12월쯤에 성균관대학교 UX academy를 수강할 때 정성재 팀장님의 강의에서 들었던 내용인데요, 모두들 지하철역에서 한번쯤 큰 지도가 보이는 평균 사람 키정도의 저 디지털 뷰라는 것을 보신적이 있을겁니다. 호기심에 한번쯤 터치하여 움직여보기도 하고 사용도 해보셨을겁니다. 저도 이것을 이용하면서 신기하다는 생각을 했었습니다. 하지만 이 디지털뷰가 실제로 그다지 사람들이 이용하지 않고 있으며, 효과도 그닥 미비하다는 것 알고 계셨나요?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딱 저 아이디어만 두고보면 정말 기발하고 스마트시대에 딱 어울리는 것이라고 볼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제가 이번 포스팅에서 이야기 하고 싶은 것은 바로 CONTEXT라는 것입니다. contex.. 더보기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28 다음